분류 전체보기 379

아프리카 산골에 디지털 수업을 시도 ....

아프리카, 남미, 아시아 어느 나라를 가든 인터넷이 안터지는 곳이 없다. 이 말은 현장과 아울러 원격 디지털 교육이 장소를 초월하여 가능하다는 말과 같다 문제는 전기다. 전기는 쏠라판을 이용하면 장소를 가리지 않고 가능하다. 선교 도구에 불가능한 것이 없는 시대에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아프리카 케냐의 '룸부아'라는 지역의 맛사이 어린이들에게 디지털 수업을 시행하는 쌤플 학교를 추진하기로 했다. 아나로그를 거치지 않는 디지털 교육을 시도하는 작업이다. 2018년 3월 이곳 선교지를 방문하게 되었다. 한국의 '함께하는 사랑밭' NGO의 장세균 선교사님이 사역하시는 선교센터를 방문하였다. 교회, 학교, 보건소, 우물....한 울타리 안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때 본 것이 전기시설과 와이파이 공유기....

에디오피아 학교 프로젝트 기도회

에디오피아 '짐마'라는 도시에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까지 기독교 학교 건축을 위한 프로젝터를 준비하여 왔다 지난 주일 에디오피아에서 사역하시는 김성중 선교사님이 한국에 오셔서 3월5일(토) 관심있는 분들과 함께 학교 프로젝터 설명회와 기도회를 가졌다 오랜 시간 준비하여 온 계획들을 설명하여 동역자들과 한마음을 가지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모였습니다. 김성중 선교사님이 에디오피아 상황과 짐마의 상황, 그리고 교육사역의 중요성을 설명하셨습니다. 그리고 학교의 크기, 설계, 학교운영, 영어수업, 디지털 교육 씨스템 구축등을 위하여 빠른 시일에 자원하는 희망자들과 에디오피아에 답사들어가기로 결정하였다. 갑작스럽게 결정된 모임에 뜨거운 마음을 품은 청년들과 성도들 그리고 외부인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이렇게 에디오피아를..

아프리카에서 진행중인 건축 사역...

세네갈과 탄자니아에 건축중인 사역들이 있습니다. 현지 선교사님의 사진과 영상이 도착했습니다. 후원자들의 정성어린 헌금으로 진행중에 있습니다. 위하여 기도부탁드립니다. 탄자니아 난가랴의 만나랴에 건축중인 유치원입니다. 이제 거의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몇년전 교회안에 우물을 시추하여 마을과 교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회입니다. 이곳 마당에 유치원과 화장실을 건축중입니다. 미장과 페인트칠 그리고 실내에 들어갈 책상, 의자, 칠판, 가구들이 들어가면 됩니다. 후원하여 주신 후원자분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탄자니아의 미래 꿈나무들이 자라날 것을 기대합니다. 위의 사진은 아프리카 세네갈에 교회와 우물과 화장실을 건축중에 있습니다. 화장실은 수세식으로 샤워시설과 함께 완성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성전공사..

N국가 산골마을 겨울용품 지원 사역

빈곤한 자들에게 난방 시설이 없는 겨울은 가혹하리 만큼 견디기 힘든 계절입니다. N국가의 '체빵부족'에게 후원자들의 손길로 S선교사님을 통해 50가구에 겨울용품을 지원하였습니다. 네팔의 체빵 부족은 낮은신분의 종족으로 주로 산지에서 가난하게 살고 있습니다. 이들이 겨울철 에는 더욱 힘들게 생활합니다. 허름한 집이 추위를 견디는데 힘들고 식량도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겨울이 마치는 3월까지 모포지원과 식량지원을 계속 하려고 합니다. 이런 상황을 알고 있는 한, 그리고 도움의 손길을 부탁하는 한 나누어야 합니다. 헌금 해주신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귀를 막고 가난한 자가 부르짖는 소리를 듣지 아니하면 자기가 부르짖을 때에도 들을 자가 없으리라 (잠언21:13절) "남는 것으로 베풀지 말고 있는 것으로..

2022년 첫 사역으로 교회건축....!!

새해 첫 사역으로 탄자니아의 바바티 음지니 마을의 'Glory to God' 교회의 성전 건축 사역입니다. 성전건축을 통해 양적 질적 부흥을 기대합니다. 조감도의 교회가 완성 되어져 예배하는 모습과 찬양하는 소리와 기도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이 교회는 낡은 한 가정에서 예배를 시작하였습니다. 가정을 개조하고 조금씩 늘려가며 큰 부흥이 일어나고 더 이상 모이기가 힘든 여러가지 한계에 왔습니다. 작년 10월 답사를 갔다와서 결정을 하였습니다. 22년도 첫 사역으로 가정집을 허물고 앞마당 뒷마당까지 합쳐 성전을 건축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교인들이 벅찬 마음으로 남녀노소 구별 없이 삽과 망치 곡괭이를 들고 기쁨으로 건물을 허물고 기초공사를 시작하였습니다. 어린이들도 교회 건축 현장에 나와서 기뻐하며 꿈을 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