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9월20일/ 예수마을교회 청년부 설교
인내 (1)
(야고보서1:2-15절)
성공과 실패라는 단어 사이에서 성공과 실패를 판가름 짖는 결정적 단어가 무엇입니까?
그것은 습관입니다.
습관은 여러가지입니다. 그러나 습관을 만드는 핵심 재료는 무엇일까요"
인내라는 것입니다. 끝까지 참고 인내하여 나의 좋은 습관이 될 때에
그것이 성공과 실패를 가늠하는 핵심단어가 됩니다.
인내하지 못하여 만들어내는 안좋은 습관은 실패를 만듭니다.
인내라는 단어는 훈련, 시험, 고난, 환난, 역경, 아픔....
우리가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 단어들 뒤에 쓰는 단어입니다.
우리가 좋아하는 단어인 기쁨을 인내한다. 행복을 인내한다. 하지 않습니다.
환난 고난 역경 시험 이런 좋아하지 않는 단어는 내 삶에 없기를 바라지만
인내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때 고난과 아픔과 절망과 환난과 시험과 환난은
입에 쓴 보약과 같은 것입니다.
오늘 그 원리를 깊이 깨닫기를 바랍니다.
오늘 두 가지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깊이 마음에 새기기를 바랍니다.
첫째: 인내의 목적은 무엇인가? (왜 참아야 하는가? 왜 기다려야 하는가?)
현재/ 살아있는 동안은 1:4절 / 온전하고 구비하여 부족함이 없게 하기 위하여 (실력)
미래 / 죽어서는 1:12절 / 생명의 면류관을 얻게 하기위하여
믿음의 시련을 통한 인내를 경험 해보지 못한 사람은 온전하지 못합니다.
폭발적이고, 참지 못해서 막말을 하고, 즉흥적이며, 좌절 낙망, 포기, 불평이 가득합니다.
즉 삶이 수준이하며 생명의 면류관, 즉 구원의 문제까지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인내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4절에 온전입니다.
그러면 인내하면 다 온전해 지나요?
꼭 그렇지는 안습니다. 이것이 인내인지, 지금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접어두고 벼르는 건지,
인내가 아닌 눌림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의 현상은 성격의 뒤틈림과 독선적인 사람이 된다든가 마음의 상처가 많은 사람입니다.
마음속에 가시가 있어서 타인을 찌르고, 공격적이며,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사람이되는 겁니다.
인내를 인내답게하는 것은 인간의 힘으로는 절대 안됩니다.
성경은 이것을 순서에 맞게 말씀해 줍니다.
베드로후서 1:6절 / "지식에 절제를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인내에 경건이 있어야 합니다. 경건하지 못한 인내가 얼마나 많습니까?
욕을 하면서 참고, 복수의 칼을 갈면서 인내하고, 참고 인내하다가
자기 성질에 못이겨 내면의 인격이 삐뚤어지고…. 경건한 인내를 해야 합니다.
일흔번씩 일곱번이라도 참고 용서해는 인내입니다.
기도한 것에 대하여 하나님을 의뢰하며 신실하게 인내하는 인내를 말합니다.
즉 사람이 온전하게 되는 필수적이며 절대적 법칙은 인내를 통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내 없이는 사람 온전하지 못한 부분적인 사람 밖에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광야의 이스라엘 백성들이 인내하지 못한 대표적 특성이 외부로 드러나는게 원망과 불평입니다.
그들은 불편한거를 참지 못했습니다.
애굽과 비교하여 조금이라도 좋지 않으면 언제든지 원망과 불평이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왔습니다.
가나안이라는 목표를 정했으면 인내해야 합니다.
거기까지 가는 길은 광야의 길입니다. 쉽지 않습니다. 먹는게 애굽과 같지 않습니다.
물이 없어 갈증이 납니다. 광야의 도적 떼인 아말렉이 공격합니다. 위협이 있습니다.
가나안 가는 길은 평탄하고 안전하고 휘바람불면서 가는 길 아닙니다.
인내하며 그 길을 가는 겁니다. 인내하지 못할 때 나오는 첫 외적증거는 언어에서 시작합니다.
언어는 모세에게 대항하지만 사실은 하나님께 한 말입니다.
하나님은 그 말을 그대로 응하게 해주었습니다.
"우리가 차라리 광야에서 죽는게 났겠다"
인내하지 못한 결과 불 뱀이 나타나 수 천명을 물어 죽입니다.
인내하지 못하는 언어는 사실 부메랑과 같아서 다 내게로 돌아옵니다.
부모를 원망하지 마세요 내가 부모와 똑같은 사람이 됩니다.
우리의 에너지가 되시는 예수그리스도 앞에 내려놓으세요
주님 너무나 힘듭니다. 참기 어렵습니다. 광야가 쉽지 않습니다.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원망과 불평으로 쏟아 붑지 마세요 주님에게 맡기고 인내하세요
둘째: 인내의 실과 허 (Test Vs Temtation)는 무엇인가?
이런 질문과 같은 것입니다. 이런 시험과 고난이 왜 내게 왔는가?
분명한 라인을 그어야 합니다. 두 가지 중의 하나입니다.
인내해야 할 그 현상이 하나는 외부에서 내게 온 것과 하나는 내 안에서 내가 만들어낸 것입니다.
외부에서 내게 온 것은 내가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내가 우리 부모 밑에서 태어난 것, 내 선택이 아닙니다. 남자 혹은 여자로 태어난 것,
부자 부모든 가난한 부모든, 믿음의 부모든, 불신의 부모든, 인격적인 부모든 비인격적인 부모든...
대한민국 땅에 태어난 것 여러분이 선택할 것이 없습니다. 코로나 피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인내해야 합니다.
그리고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이 내게 생깁니다.
아브라함처럼 - 갈대아 우르를 떠나야 하는 고난입니다.
모세처럼 - 지도자로 길을 걸어야 하는 고난입니다.
요셉처럼 - 노예로 팔려가고 강간미수범으로 감옥에 가야하고
다윗처럼 - 골리앗을 죽인 후 도망자 생활을 13년을 해야하고
바울처럼 - 복음을 증거한 다는 것 때문에 돌에 맞고 곤장을 맞고 죽음까지 가며
이 때 나오는 질문은 "하나님 왜! God's why!" 눈물로 기도하는 겁니다."
얼마나 눈물의 기도가 많았습니까? 얼마나 인내했습니까? 긴 세월동안 성숙을 위한 것입니다.
훈련의 과정이며 이것을 야고보는 "믿음의 시련"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인내의 실입니다.
인내의 허는 죄의 결과에 대한 댓가에서 오는 것이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내 욕심에 끌려 미혹된 것이라고 한 것입니다. 거기에는 인내를 쓰지 말라는 겁니다.
야고보서 1:13-15절이 인내의 허와 실을 구별짖는 말씀을 합니다.
자기가 욕심에 끌려서 잘못하고 그 결과 때문에 인내한다고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것은 댓가를 지불해야 하는 것입니다.
회개가 댓가를 피하기 위하여 , 두려워서 회개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 왜! 내가 이런 상황에 있어야 하나요 그렇게 말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노력하지 않고 내게 온 가난과 절망스러운 삶은 인내가 아닙니다.
게으른 자에게 오는 당연한 결과는 가난입니다. 그것은 당하는 것이지 인내라는 말이 안 어울립니다.
기도하지 않고 말씀 붙잡지 않고 자기 생각과 자기 욕심에 끌려 자기가 당한 고난과 환경에서
인내라는 말을 쓰지 말라는 겁니다. 거기에는 하나님의 뜻이 없습니다.
노력하지 않고 온 결과를 하나님의 시험이라고 하며 인내를 쓰지 말라는 겁니다.
영어로 이야기하면 Test Vs Temtation의 구별입니다.
의롭게 살고, 예배자로 살고, 주일을 성수하며 살고, 진리대로 살면 반드시 핍박을 받습니다.
그래서 인내해야 합니다. 기독교는 핍박을 받는 종교입니다. 이유는 하나입니다. 유일신이고
유일하게 진리이기 때문에 비진리에게 핍박을 받습니다.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는 자는 복이 있습니다.
개신교 프로테스탄트의 뜻은 기독교를 비꼬는 말입니다.
“저항하는자”입니다. 죄에 대하여, 세상에 대하여...그래서 항상 핍박 속에서 왔습니다.
“왜 기독교만” 그러지 마세요 당연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여기까지 왔습니다.
마지막 이 세상의 타겟은 기독교입니다. 왜냐하면 유일한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핍박을 받을 각오를 해야 합니다.
그래서 인내가 근육으로 능력으로 갖추어야 합니다.
결론을 맺습니다.
인생에 고난이 없는 사람 없습니다. 인내해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아니 계속 나타날 것입니다. 인내 속에서 성숙하여 가나안까지 가느냐
아니면 광야에서 하나님의 최소한의 은혜인 메추라기와 만나는 경험하며 광야에서 인생을 마치느냐
바울은 인내를 이러게 표현합니다.
인내의 궁극적 목적인 온전과 생명의 면류관
바울은 이것을 이렇게 고백합니다.
빌립보서4: 11-13절 / 내가 궁핍하므로 말하는 것이 아니니라 어떠한 형편에든지
나는 자족하기를 배웠노니 나는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붕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 곧 배부름과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처할 줄 아는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
내게 능력 주시는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그럼 인내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다음 주일에 이어서 말씀합시다.
청년 여러분 아직 여러분 들은 실패와 성공이 구별되지 않은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구별 짖는 습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그 습관의 핵심은 인내입니다.
그리스도의 인내가 여러분 안에 믿음으로 영성으로 내 삶에 배어들어가
승리의 습관 성공의 습관을 만들어가는 여러분 되기를 축원합니다.
'셋 > 주일 설교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룩한 씨 (로마서11:1-5절) (0) | 2020.10.03 |
---|---|
인내의 법칙 (약1:2-8절) (0) | 2020.09.26 |
창조성(2)/청년설교 원고 / 20.9.13일 (0) | 2020.09.13 |
빌라도의 보고서 (0) | 2015.03.22 |
부활을 믿는다면 (부활주일 설교) (0) | 201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