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79

에디오피아 짐마에 부는 부흥의 불길...!

요즘 미국에 부는 에즈베리대학 부흥의 불길이 있다면 에디오피아 짐마공과 대학 근처의 한 교회에도 대학생들을 중심한 강력한 성령의 바람이 불고있다. 에디오피아 짐마는 98% 강력한 모슬렘 지역인데 이곳의 한 대학생교회 (보사 아디스 카타마교회)에 1,000여명의 대학생이 출석하여 뜨겁게 예배 드리고 있습니다. 놀랍습니다. ~~! 작년 7월에 저와 선교팀이 이 곳을 방문하여 이 교회의 안타까운 상황을 보게되었습니다. 대학생들이 성전을 이전 확장하려고 공사중인데 완성하지 못한 안타까운 상황을 보았습니다. 귀국하여 후원홍보를 하여 헌금을 보내 공사하여 지금 그곳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습니다. 어제 (23년 3월12일) 예배 실황 영상이 저에게 도착하였습니다. 이 영상을 보는 순간 그냥 놀랄 수 밖에 없었습니다. ..

탄자니아 잔지바르 섬에 2, 3호 우물 시추

23년 1월에 다녀온 아프리카 탄자니아 잔지바르에 처음으로 1호 우물을 시추했고 계속 2호 3호를 약속한 곳에 우물시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잔지바르는 제주도 크기의 섬입니다. 식수의 연약함은 아프리카 어느 나라든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2호 우물은 유치원 앞 마당에 시추하고 동네 주민들도 함께 사용할 것입니다. 시추 장비들이 열악하지만 그래도 자신들만의 노하우로 신속하게 시추를 성공하였습니다. 6시간동안 물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영상을 보내주셨습니다. 이제 물저장 탑을 세우는 작업을 하고 파이핑 작업을 계속 할 것입니다. 인간은 전기 없이는 살 수 있어도 물이 없이는 살 수 없습니다. 이 우물로 선교사님의 전도 사역에 큰 도움이 되고, 현지 어린이들과 주민들에게 큰 행복이 되어서 감사합니다. 이어서..

태국 치앙라이 (Mae Suai) 선교지 답사

기간: 2023년 2월13일 부터 20일까지 7박8일간 장소: '치앙라이' 인근의 선교지 (Mae Suai ) 김성희 선교사 대원: 안혜권 목사, 양윤경 사모, 안찬민 목사, 김대혜 전도사, 석유진 자매, 매튜 현재 우리교회 청년이었던 (고)김준기 형제가 군 제대후 아버지 김성희 선교사님의 사역지에 들어가 자신도 선교사가 되겠다고 하며 함께 사역하다가 뜻밖의 교통사고로 태국 순교자 묘소에 잠들게 되었습니다. 사실 '준기' 형제의 순교가 순교로 끝나지 않고 계속 이어져 사역하기 위하여 답사차 들어간 것입니다. 예수마을교회 비젼마을을 중심으로 계속 사역 프로젝터를 펼쳐가려고 합니다. 공항에서 내리자 마자 준기형제 묘소에서 기도를 하고 2시간 정도 달려 도착한 곳은 'Mae Suai' 선교사님 컴파운드였습니다..

우간다 남수단 난민촌, 잔지바르 답사

23년 1월8일~1월21일 까지 / 우간다 남수단 난민촌, 탄자니아 잔지바르 (안혜권 목사, 안찬민 목사, 김대혜 전도사) 무리한 스케줄로 강행군하며 두 나라 선교답사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남수단 난민촌은 교통편이 힘든 지역이며 잔지바르는 탄자니아의 섬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두 지역을 답사하는데 가장 힘든 것이 비행기 스케쥴과 이동간의 체력이었습니다. 우간다 남수단 답사는 난민촌에 시추한 우물과 두지역 성전건축 마무리를 확인함과 동시에 난민촌 청소년들을 위한 수련회 준비차 답사하였습니다. 인간 존재의 기본적인 의식주의 문제가 해결이 안되는 빈곤한 상황은 이들의 꿈과 소망까지 모두 삼켜버렸습니다. 그러나 이들에게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으로 소망의 씨앗을 불어 넣는 것은 소중한 일입니다. 우리나라 한국도 그런 형..

카테고리 없음 2023.01.25

남수단 난민촌, 잔지바르, 8(일) 저녁 출국....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3년 첫번째 선교가 시작됩니다. 올 해도 하나님께서 크게 사용하실 줄로 믿습니다. 우간다 남수단 난민촌과 탄자니아 잔지바르 섬을 찾아갑니다. 세명의 사역자(안혜권 목사, 안찬민 목사, 김대혜 전도사)가 답사갑니다. 1월 9(월) 출발해서 1월21일(토)에 도착합니다. 이동거리가 길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가장 싼 비행기를 찾다보니 기간이 길어집니다. 이번 답사의 목적은 23년 사역을 준비하는 답사입니다. 남수단 난민촌은 내전으로 인하여 도망온 난민들이 우간다국경에서 유엔의 보호하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남수단과 경계하고 있는 주변국가로 많은 사람들이 난민의 길을 택하게 된 것입니다. 유엔의 통계에 의하며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4월에 방문하여 몇가지 프로젝터를 구상하고 한가지씩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