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나 너무 힘들어..!"

열방드림 힐링보이스 2020년 6월 4일 대화하다 보면 상대의 힘든 일을 듣게 됩니다. "나 너무 힘들어…" 이럴 때 어떻게 반응하나요? 무관심파 "야! 그 정도 안 힘든 사람이 어디있냐?" 훈련파 "이빨 꽉 깨물어 이겨내…!" 지도자파 "그건 니가 몰라서 그래 원인은 이건데 이렇게 해…" 짜증파 "맨날 짜증나게 그런 이야기냐…" 전쟁파 "그걸 참고 있었어? 확 뒤집어 엎어!" 그런 이야기를 듣고 싶은게 아닙니다. 나 힘든데 들어달라는 것입니다. 투덜대며 털어놓고 눈물 흘릴 때 70%는 해결 된 겁니다. 그 말을 들을 때 진심으로 반응만 잘해주세요 고개를 끄덕여 주고, "힘들었겠구나" "어머~! 어떻하냐~" "그랬구나~" 같이 눈물 흘려주는게 대답입니다. 설명이 대답이 아닙니다. 감정을 공감하는게 진정한..

진정한 관계성

열방드림 힐링보이스 2020년 6월3일 / 진정한 관계 인간관계의 바닥에는 서로 필요 조건을 채워주는 그런 거래성이 깔려있습니다. 필요성이 없을 때는 관계는 깨집니다. 마치 물건으로 비교한다면 꼭 필요해서 구입하는 물건이 있습니다. 그러나 필요하지 않더라도 좋아서 사고 싶은 물건이 있듯이 말입니다. 그냥 내 곁에 두고 싶기 때문에 구입하는 겁니다. 사람도 그렇습니다. 저 사람 만나면 참 기뻐, 평안하고… 그것도 기쁨과 평안을 충족할 필요조건입니다. 그가 한결 같이 내게 기쁨과 평안을 주지 못할 때 그때는 그를 멀리하게 됩니다. 주는 것으로 만족한 관계를 가지세요 그러면 오래갑니다. 사람은 다 입에 빨대 하나씩 물고 관계를 합니다. 더 이상 내 입에 들어오는 것이 없으면 단호하게 빼서 다른 곳에 꼽습니다...

무엇보다 왜...!

열방드림 힐링보이스 2020년 6월2일 / 무엇보다 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은 무엇(What)입니다. 직업이 무엇인지, 뭐해서 먹고살지, 무엇을 쇼핑할지 일어나면 오늘 뭐해야 하는지, 주부들은 뭐 먹어야 하는지 젊은이들은 뭐해서 미래를 살아야 할지… 삶이 무엇에 눌려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알멩이를 놓쳐서는 안됩니다. "왜!"라는 질문을 깊이 있게 해야 합니다. '왜'라는 질문이 빠지면 무엇의 종점은 먹고 사는게 전부가 되버립니다. '왜' 라는 질문은 무엇에 대한 이유가 됩니다. "내가 이걸 왜 해야하지?"라는 질문으로 내가 하는 것에 대한 확신으로 지치지 않는 에너지가 솟아납니다. 이유가 없는 '무엇'은 쉽게 지쳐버립니다. 이유가 없으면 생존이 목적입니다. 결국 먹고 사는겁니다. 예수님은 왜라는 질문..

행복의 조건

열방드림 힐링보이스 2020년 6월 1일 / 행복의 조건 행복의 조건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행복이 무엇인가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공통적인 행복은 거의 양적이거나 어느 수준에 올라간 상태라고 우리는 기본적으로 생각합니다. 플라톤은 이것이 행복의 조건이라고 말했습니다. 먹고 살만한 수준에서 조금 부족한 재산 모든 사람이 칭찬하기에 약간 부족한 외모 자부심은 높지만 사람들이 절반만 알아주는 명예 한 사람에게 이기고 두 사람에게 질 정도의 힘 청중의 절반은 손뼉을 치지 않는 연설 솜씨 약간의 부족함이 행복의 조건입니다. 부족함 때문에 노력하고 부족함 때문에 목표가있고 방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약한데서 강함이 나온다고 했습니다. 약하기 때문에 하나님을 찾고 그 가운데서 하나님의 능..

나 혼자만의 시간

2020년 5월30일 혼자만의 시간을 못견뎌 하고 외로움이나 두려움에 잡히는 사람이 있습니다. 혼자만의 시간 속에는 창조가 있으며 성숙이 있는 시간입니다. 모세는 40년을 광야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견뎌야 했습니다. 요셉도 형들에게 팔려 긴 시간 혼자의 시간을 가집니다. 다윗도 고독한 도망자의 삶의 시간이 다윗을 만들었습니다. 요한은 밧모섬에서 계시록의 말씀을 받았습니다. 예수님은 혼자 산기도를 많이 하셨습니다. 베토벤은 청각장애의 고독한 세월 속에서 5번 운명 교향곡을 작곡합니다. 혼자의 시간이 낙망과 좌절과 두려움으로 눌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혼자의 시간에서 제2의 창조를 만들어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내 주변에 아무도 없을 때 내 안에 찾아오시는 하나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끄러운 주변 사람으로 조..